
광고가 어디서 보여지는가?
ROS·RON·RTB·PDB, 광고 노출 구조
안녕하세요. 부수요입니다.
블로그나 웹사이트에 광고가 뜨는 방식은 단순히 “자동으로 배치된다”로 끝나지 않습니다.
광고는 어디에, 어떤 방식으로, 어떤 조건에서 노출되느냐에 따라 단가도 달라지고
전체 수익 구조도 크게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광고 시장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ROS · RON · RTB · PDB, 네 가지 광고 노출 구조를
초보자도 이해하기 쉬운 흐름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광고 수익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고 싶다면
‘광고가 어떻게 선택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길입니다.
1. ROS (Run of Site) — 사이트 전체 랜덤 노출
ROS는 하나의 사이트에서 특정 페이지를 지정하지 않고 전체 영역에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하면
이 사이트 안이라면 어디든 상관없이 광고를 보여주세요.
특징
- 페이지 단위가 아니라 ‘사이트 전체’ 단위로 노출
- 상대적으로 단가가 낮게 형성
- 타게팅보다는 범위 확장에 목적
- 일반 배너 광고에서 자주 쓰이는 방식
정리
ROS는 타게팅보다 도달 범위를 넓히는 목적이 강해
정확한 전환보다는 노출 확보 중심의 광고 구조입니다.
2. RON (Run of Network) — 네트워크 전체 노출
RON은 하나의 사이트를 넘어서
광고 네트워크 전체(수많은 사이트 묶음)에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입니다.
예: 수백 개의 사이트가 연결된 광고 네트워크 → 그 전체에 랜덤 노출
특징
- 매우 큰 노출 규모
- 타게팅이 거의 없기 때문에 단가 낮은 편
- 브랜드 인지도 목적에서 활용
- 클릭·전환보다는 도달 수(Reach) 중심
정리
RON은 ‘정확한 독자’보다 ‘많은 독자’를 목표로 한 광고 방식입니다.
대형 광고주들이 브랜드 홍보용으로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3. RTB (Real-Time Bidding) — 실시간 입찰(애드센스 구조)
RTB는 광고주들이 방문자 한 명을 두고 0.1초 이내로 입찰 경쟁하는 구조입니다.
애드센스, 타겟형 디스플레이 광고 등 대부분의 현대 광고는 RTB 기반으로 돌아갑니다.
쉽게 말해,
지금 이 방문자에게 광고를 보여줄 권리를 실시간 경매하는 것.
RTB가 중요한 이유
- 방문자 단위로 광고가 바뀜
- 광고주 경쟁 정도에 따라 CPC·RPM이 실시간 변화
- 방문자 관심사·페이지 주제 모두 고려한 정교한 노출
- 블로거 수익이 들쭉날쭉한 핵심 이유
정리
RTB는 애드센스 수익이 매일 달라지는 이유를 설명해주는 가장 핵심 구조입니다.
광고는 글이 아니라 방문자에게 맞춰진다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4. PDB (Programmatic Direct Buy) — 사전 계약 광고
PDB는 광고주와 매체가 사전에 일정 금액·조건을 직접 계약하고
그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광고가 집행되는 방식입니다.
예: 대기업이 포털 메인 광고를 몇 주 동안 사전에 계약하는 구조
특징
- 노출량·단가가 사전 확정
- 안정적이지만 유연성 낮음
- 대형 언론사·포털에서 자주 활용
- 블로그/개인 웹에는 거의 적용되지 않음
정리
PDB는 안정적이고 강력한 광고 방식이지만
개인 블로그나 소규모 사이트보다는 기업 중심 구조입니다.
5. 네 가지 구조 비교
초보자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구조 | 노출 방식 | 단가 수준 | 타게팅 | 특징 |
| ROS | 사이트 전체 랜덤 | 낮음 | 거의 없음 | 도달수 확대 |
| RON | 네트워크 전체 랜덤 | 낮음~중간 | 없음 | 대규모 노출 |
| RTB | 실시간 입찰 | 중간~높음 | 강함 | 애드센스 구조 |
| PDB | 사전 계약 고정 | 높음 | 선택적 | 대기업·포털용 |
광고가 어디서 뜨는지는 우연이 아니라 시스템의 결과입니다.
ROS·RON은 범위 중심, RTB는 경매 중심, PDB는 계약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블로그나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수익의 차이 역시
광고가 어떤 방식으로 노출되고 선택되었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수익의 차이는 광고의 운이 아니라, 구조의 차이에서 시작됩니다.
'디지털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광고 수익 지표 이해편 (CPA·CPL·RPM·CTR) (0) | 2025.11.11 |
|---|---|
| 광고 수익 구조의 기본 3형식(CPC·CPM·CPV) (0) | 2025.11.07 |
| 어필리에이트, 한 번에 이해하기 – 수익 구조와 운영 포인트 (0) | 2025.11.06 |
| 디지털로 만드는 부수입 – 앱·온라인 재테크 활용법 (0) | 2025.10.30 |
| 작은 부수입으로 시작하는 재테크 – 초보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실용 팁 (0) | 2025.10.30 |